개발/Swift 4

Alamofire와 Escaping

자주 반복되는 Alamofire를 함수로 만들자. feat.Escaping Alamofire라는 좋은 라이브러리를 쓰다가 보면 새로운 swift파일을 만들때마다 반복적으로 쓴다는 생각이 든다. 그래서 함수로 만들면 좋겠다! 라고 생각했다가, 졸업작품 당시 포기했다. 포기한 과정을 보기전에 오늘의 구조 먼저, 첨부 스토리보드도 심플, 코드도 심플, 화면도 심플한 상태이다 코드 구성 Alamofire를 사용하기 위해 import 사용될 함수 url을 선언과 초기화 통신 성공시 obj 라는 이름의 Any타입을 가진 데이터를 가져오고 출력 출력 값: 오른쪽 하단 Any 타입 데이터를 딕셔너리로 캐스팅 해당 딕셔너리중 'text'라는 키의 데이터를 String형으로 캐스팅 값: "Server Text"라는 문자열..

개발/Swift 2019.01.20

Alamofire와 Codable

요즘 시대엔 앱을 사용하면서 통신은 필수인듯 하다. 여러 기기간의 동기화, 결제, 등등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다루는 분야가 훨씬 많다. 필자도 맨처음 시작했던 Swift 스터디에서 로컬 앱을 만들었으나 통신의 필요성을 느껴서 졸업 작품때 통신을 하는 앱을 시도 했었으며, 취업에 많은 도움이 되었던 것 같다. 여담으로 아무것도 모르는 상태서 html, php, MariaDB, 포트포워딩 등등 배우려니 너무 힘들었던 기억이 있다. 서버는 집에 있던 NAS를 조금이나마 돈값하게 이용했었다. 그때 Alamofire 라는 훌륭한 라이브러리를 알게 되었다. CocoaPod을 이용해서 설치했으며, 설치법은 시간이 된다면 나중에 다뤄보기로..... 로컬 서버를 이용한 응답값을 먼저 보자. (응답값) JSON 형태이며,..

개발/Swift 2019.01.20

UIButton과 Class

이번의 주제는 클래스를 좀 더 잘써보기 위한 글이다 디자인적 요소에서 class를 효율적으로 사용해보자 지금하는 프로젝트도 그렇고 어디서든 디자이너는 있다. 개인 프로젝트도 본인이 디자이너인것이다. 물론 퀄리티 차이는 어마어마하다. 그런데 디자이너건 개인프로젝트건 사용하는 것중에 반복 되는 요소는 있기마련이다. 예를 들자면 저장 같은 버튼?통일성도 있을 뿐더러 시간 절약도 되는 것 같다. 이번에도 이전글과 같이 아!! 이렇게 쓰면 좋겠네! 하는 경우이다 이전글: Class, Struct 값 전달 방식이 다른건 알지만 언제쓰지? 다루게 내용은 다음과 같다 Class 없이 구현 Class 사용하여 구현 Class의 상속 이용 오늘은 Play Grounds 말고 Xcode가 사용된다. 우선 화면을 보자,(왼쪽..

개발/Swift 2019.01.20

Class, Struct 값 전달 방식이 다른건 알지만 언제쓰지?

"차이가 있다는건 나도 안다! 그치만 쓰임새가 어떻게 다를지 모르겠다!" 이럴때 읽으면 조금은 도움이 되지 않을까 생각하며 블로그에 담게 되었다 마치 고등학교때 배운 미적분 마냥, 배우긴 했지만 어떻게 써먹어야할지 애매했다. 많은 책에서 중요하게 다루는 구조체와 클래스, 다르다는 설명은 많다. 전달 방식에 따라 다른 것 외에도 차이점은 많지만 개발 경력이 얼마 안되서 그런지 실제로 다르게 써야한다고 느낀적이 없었다... 둘이 비슷한정도로만 사용했던 것 같다. 그런데! 개발하다가 아!! 이때 필요하겠는데? 라고 최근에 느꼈다. 비스무리한 예를 들어서 포스팅을 해야겠다. 중점은 값을 전달 하는것과 주소 값를 전달 하는것에 맞춰서! 예시 구조 학교라는 틀에서 설명을 해보려고한다. 학교 : ( 학교 이름 / 학..

개발/Swift 2019.01.19